이미지 압축기 (크기 조정 + 화질 설정 + ZIP 묶기)
여러 이미지를 퍼센트 단위로 축소하거나
JPEG / WEBP 화질 설정으로 용량을 줄이고,
결과물을 ZIP 파일로 한 번에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모든 과정은 브라우저 내에서만 수행되며,
서버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전혀 저장되지 않습니다.
📸 포맷별 특징 및 용량 영향
- JPEG: 사진류에 최적화된 손실 압축 포맷입니다.
화질(0~1)값을 0.7~0.9로 설정하면 육안상 큰 차이 없이 용량을 70~90%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. - WEBP: 구글이 개발한 최신 포맷으로, JPEG보다 20~30% 더 효율적인 압축률을 제공합니다. 대부분의 최신 브라우저와 앱에서 지원됩니다.
- PNG: 손실 없는 압축 포맷입니다. 색상 수(양자화)를 줄이면 큰 용량 절감이 가능하며, 투명 배경이 필요한 로고나 UI 이미지에 적합합니다.
- 원본 유지 (auto): 각 이미지의 원래 포맷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크기만 조정합니다.
⚙️ 옵션 설명
- 크기 줄이기 (%): 원본 해상도의 비율을 지정합니다. 50%로 설정 시 가로·세로가 절반으로 줄어들며, 용량은 보통 75% 이상 감소합니다.
- 화질(0~1): JPEG/WEBP에 적용됩니다. 낮을수록 파일 크기가 작아지지만 세부 묘사가 손실됩니다.
- PNG 색상 수(양자화): 색상 팔레트를 줄여 용량을 절감합니다. 256색이 가장 품질이 좋으며, 32색 이하는 도식, 그래프 등 단순 이미지에 적합합니다.
🔒 개인정보 보호 안내
이 도구는 모든 처리를 사용자의 브라우저 내부 메모리에서만 수행합니다.
즉, 업로드한 이미지가 인터넷이나 서버로 전송되지 않으며,
사용자의 PC 또는 모바일 기기에서 즉시 변환 및 ZIP 압축이 이루어집니다.
따라서 기업 보안 정책, 민감 정보 이미지, 신분증 사진 등의 편집에도
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
💡 추가 팁
- PNG → WEBP로 변환하면 대부분의 경우 80~90% 용량 절감이 가능합니다.
- GIF는 정적인 경우 JPEG/WEBP로 변환 시 훨씬 작아집니다.
- 너무 큰 이미지(예: 8000×8000px 이상)는 브라우저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므로 여러 장을 동시에 처리할 때는 주의하세요.